메디컬투데이=김준수 기자] 최근 통계 자료를 보면 소아‧청소년기에 근시 및 난시가 발생해 성인이 됐을 때 안경이나 렌즈로 시력을 교정해야 하는 경우가 동일 연령 인구의 절반에 이른다. 그만큼 근시나 난시 등의 굴절 이상은 우리 사회에 흔한 안과적인 문제가 됐다.
이러한 근시 및 난시를 해결하기 위한 시력 교정 수술로서 각막 실질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라섹이나 라식 수술법이 개발된 지도 30년가량 됐다. 라식은 각막을 절개해 뚜껑의 형태를 만든 후 실질부에 레이저 조사를 통한 시력교정을 하는 반면, 라섹의 경우 재생 가능한 각막의 상피 부분을 브러쉬와 알코올로 벗겨낸 후, 실질부에 레이저 조사를 진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안구에 가해지는 통증이나 각막 상피 수술부위와 관련한 여러 합병증의 위험 요소가 존재해 환자에게 부담감을 안겨줄 수 있다. 라식의 경우는 각막을 절개해 만든 뚜껑이 외상으로 이탈하는 경우 영구적인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라섹의 경우는 브러쉬와 알코올을 사용해 벗겨낸 상피와 관련해 수술 후 며칠 간 통증이 심할 수 있다.
![]() |
▲ 박진형 원장 (사진=성모진안과 제공) |
관련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