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김준수 기자] 전자기기를 자주 사용하면서 근거리 작업을 많이 하는 현대인은 눈의 피로감과 안구건조증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생활습관으로 피로감과 건조증세가 악화된다면 시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멀리 있는 사물이 잘 보이지 않는 근시의 경우는 일상생활을 하는 데에 불편함을 준다. 이 경우에는 안경 및 렌즈의 사용으로 보완을 할 수 있지만 항상 안경과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안경의 경우 야외 활동 시에 편의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시력교정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렇지만 눈은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신체 기관이기 때문에 시력교정술을 선택하는 데에 있어 자신에게 적합한 수술 방식인지, 부작용으로는 어떠한 점이 있는 지에 대해서 꼼꼼히 살펴야 한다. 시력교정술로는 대표적으로 라식, 라섹, 렌즈삽입술 등이 있다.
박진형 성모진안과 원장은 “안정적인 시력교정술의 예후를 고려해본다면 잔여 각막량에 대해서 고려해야 한다. 과한 각막의 절삭은 시력의 질을 낮출 수 있으며, 수술 후 지나치게 얇은 각막은 각막확장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술 전 이벤트에 현혹되기 보다는 전문적이고 정밀한 검진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 수술 후 체계는 어떠한지 파악을 한 후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라섹은 각막 상피를 제거한 후 각막 실질 부위를 교정하고, 다시 상피를 재생시키는 방식이다. 라섹은 수술 후 외부 충격에 강한데, 라식과 달리 각막 절편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절편과 관련한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라섹은 라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유기간이 길며, 수술 후 통증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라섹의 단점을 개선한 올레드라섹도 시행되고 있다.
관련링크